본문 바로가기

정보/경제, 금융, 카드

부동산에 화난 중도층, 2030이 선거판 흔들다 / swing voter, 노무현, 열린우리당, 안철수, 박원순, 윤석열, 오세훈, 중앙일보, 여당 지지율, 임대차법, 중도층, 박근혜, 진보, 보수, 이명박, 비례대표..

‘3 대 3 대 3.’ 전문가들이 보는 한국의 진보-보수-중도층 분포도다. 두 거대 정당이 3분의 1씩 차지하고 중도 표심이 3분의 1 정도 된다. 그 중도 표심을 보통 ‘스윙보터(swing voter)’라고 한다. 선거 때마다 판세는 이 ‘스윙보터’에 좌우된다.
특정 정당이 선거에서 5년 이상 장기간 승리를 이어 가는 게 힘드는 것은 이 ‘스윙보터’ 표심이 균형추 역할을 하며 상황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어느 정당이 선거에서 이겼다고 해서 다음 대선 또는 총선이나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할 것이란 보장이 없는 것도 그렇다.


2004년 총선에서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노무현 당시 대통령 ‘탄핵풍’을 타고 총선에서 대승을 거뒀다. 하지만 2006년 5월 31일 실시된 제4회 지방선거에서 여당은 사상 최악의 참패를 했다. 16개 시·도지사 중 열린우리당은 전북 1곳만 챙기는데 그쳤고 제1 야당인 한나라당이 12곳을 차지하는 압승을 거뒀다. 한나라당은 서울 구청장 25곳을 석권했고 열린우리당은 한 곳도 건지지 못했다. 열린우리당은 서울뿐만 아니라 인천·경기 등 수도권에서 전멸했다. 여당은 광역 지자체 10곳에서 비례대표를 제외한 지역 의원 0명이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전무후무한 참패다.

 

한나라당은 여세를 몰아 2007년 대선과 2008년 총선에서도 승리했다. 하지만 2011년 10월 서울시장 보궐 선거에서는 임기 4년 차에 접어든 이명박 정부에 대한 민심 이반 현상이 일어나면서 당시 제1 야당인 민주당과 안철수 현 국민의당 대표까지 힘을 합쳐 내세운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낙승했다. 한나라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전면에 내세워 당 쇄신에 나선 끝에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 연거푸 이겼다. 하지만 한나라당 계열 정당들은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2020년 총선 등 전국 선거에서 4연패했다.


최근엔 선거 지형이 급변했다. 대통령 지지율이 곤두박질치고 여당 대선 후보들의 지지율도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게 밀리고 있으며 재·보선 여당 후보들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여당에선 불과 1년 전인 2020년 4월 총선 압승 분위기는 온데간데없다. 대부분의 여론 조사에서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 호남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대통령과 여당 후보들 지지율이 야당에 밀렸다.

선거판 좌우하는 ‘스윙보터’, 대통령·여당에 등 돌려
더욱 주목되는 것은 중도층, 즉 ‘스윙보터’의 여당 이반이다. 좌우 또는 보수·진보 양 극단 핵심 지지층은 이념에 바탕을 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다. 이런 유권자들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정당 또는 정치 지도자들에게 쉽사리 등을 돌리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중도층의 마음을 잡는 것이 선거에서 매우 중요하다. 각 정당들이 선거 때마다 중도층 공략에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다.


‘스윙보터’들은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에 대한 지지 색채가 옅다. 좌·우, 진보·보수라는 이념적인 틀에 갇혀 있지 않다. 이들은 이념에 바탕을 두지 않고 정치 상황이나 그때그때의 이슈, 자신들이 관심을 갖는 정책 등에 따라 선택한다. 정치적인 변수에 따라 언제든 특정 정치인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거나 지지를 보내 정권 교체 또는 창출의 원동력 역할을 한다. 조지 레이코프 미국 버클리대 교수는 “중도는 어떤 문제에는 보수적이고 어떤 문제에서는 진보적”이라고 했다.


특히 양당 체제가 공고하게 형성됐다면 이들의 선택에 따라 선거판이 좌우될 때가 많다. 노무현 정권을 탄생시킨 것도, 박근혜 정권을 무너뜨리고 문재인 정권을 만든 것도 중도층의 선택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최근 여론 조사에서 여당이 야당에 밀리는 것도 중도층 움직임의 폭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갤럽이 문재인 정권 출범 직후인 2017년 5월 30일~6월 1일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95% 신뢰 수준에 표본 오차 ±3.1%포인트. 이하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문 대통령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84%였고 중도층은 이보다 높은 87%였다. 지난해 4월 15일 총선 직전인 4월 13~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신뢰 수준 95%, 표본 오차 ±3.1%포인트)에서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 평가는 59%, 중도는 55%를 나타냈다. 전 연령층이 긍정 평가가 많았고 이 가운데 30대 75%, 40대 66%, 50대가 65% 순이었다.


지난 3월 4주(3월 23~25일) 조사(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 대상, 신뢰 수준 95%, 표본 오차 ±3.1%포인트)에선 대통령 긍정 평가는 34%로 내려갔고 중도층은 이 보다 더 내려간 27%를 나타냈다. 임기 초와 지난해 4월보다 중도층의 긍정 평가 이탈이 전체 평균보다 더 많았다. 연령층은 40대를 제외한 다른 모든 세대는 긍정 평가보다 부정 평가가 많아졌다. 특히 20~30대의 이탈률이 컸다.

 

다른 여론 조사에서도 중도층의 여당 이탈 현상이 두드러졌다. 한국경제신문이 입소스에 의뢰해 3월 26~27일 만 18세 이상 서울 시민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신뢰 수준 95%, 표본 오차 ±3.5%포인트)에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전체 지지율은 34.8%였으나 중도층은 27%에 머물렀다. 반면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전체 지지율은 50.5%였고 중도층은 이 보다 5.7%포인트 높은 56.2%였다.

“내년 대선에서도 부동산 문제로 승패 갈린다”
KBS·MBC·SBS가 코리아리서치 등 여론 조사 업체 3곳에 의뢰해 3월 31일 만 18세 이상 서울 시민 1007명을 대상으로 한 서울시장 후보 여론 조사에선 박영선 후보는 지지율 28.2%, 오세훈 후보는 50.5%를 각각 나타냈다. 중도층 지지율은 오 후보가 57.1%로 22.0%에 그친 박 후보를 크게 앞섰다. 오 후보의 중도 지지율은 전체 평균 보다 훨씬 높았고, 박 후보는 그 반대였다. 중앙일보가 입소스에 의뢰해 3월 30~31일 실시한 조사에서도 오 후보의 중도 지지율은 전체(50.4%)보다 높은 55.4%를 나타낸 반면 박 후보는 29.7%에 머물렀다.


지지율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부동산 문제다. 지난해 총선 직전 실시된 한국갤럽의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 조사에서 직무 수행 부정 평가 이유로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이 1위로 꼽혔으나 최근엔 부동산 문제가 압도적으로 수위를 차지했다. 한국경제신문이 입소스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에서도 차기 서울시장이 해야 할 현안으로 ‘부동산 안정’을 꼽은 응답이 37.6%로 가장 많았다.


중도층과 20~30대 여당 지지율 이탈이 큰 것도 부동산 문제가 제일 큰 원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 여론 조사 전문가는 “부동산 정책 실패로 집값이 천정부지로 오른데다 대출 규제도 대폭 강화됐고 임대차법 시행으로 전셋값도 폭등하는 바람에 젊은 세대들이 집을 사기도, 집을 얻기도 힘든데 대한 불만이 여론 조사에 나타났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그는 “여당도 이런 심각성을 인식하고 선거전 막판에 부동산 규제 완화 카드를 꺼냈지만 때를 놓쳤다”며 “부동산은 내년 대선에서도 제1의 화두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 부문의 대책이 승패를 가른다고 봐도 될 것”이라고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