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경제, 금융, 카드

인플레이션 공포에 서민 경제 ‘시름’ / 저소득 계층, 생활물가지수 상승률, 식품물가지수 상승률, 저소득 가계, 소상공인 자영업자, 미금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대응책

팬데믹 발생 이후 생활물가 껑충…소상공인 비롯한 저소득 가계 부담 증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5%로 2011년 4.0%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민 경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생활물가 상승률이 크게 올랐다. 지난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3.2%, 식품물가지수 상승률은 4.7%로 2011년(각각 4.4%, 6.3%)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교통(6.3%),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5.9%), 음식 및 숙박(2.7%) 순으로 전체 물가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며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이 시작된 2020년에는 소비가 크게 위축되며 물가 상승률이 크게 하락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0.5%,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0.4%, 식품물가지수 상승률은 2.9%였지만 지난해에는 유가를 비롯한 각종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함께 생산·공급 비용이 올랐고 또한 팬데믹이 길어지면서 위축됐던 소비 심리도 일정 부분 살아나며 소비자 물가가 예상보다 크게 오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생활물가의 상승은 가계 소비 지출이 늘어나며 가계 수지 악화를 야기하는 요인이 된다. 실제 팬데믹으로 가계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 지출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식료품 물가의 상승은 가계 수지에서 지출을 높이는 요인이 되며 이는 서민 가계에 경제 부담을 높이는 문제를 가져온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의 가계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 지출 비율은 12.7%(주료와 외식비 제외)였지만 팬데믹 발생 이후 지난 2년의 연평균 식료품 지출 비율은 약 14.2%로 높아졌다. 결국 식품물가를 포함한 생활물가가 오르면 소득이 오르지 않는 상황에서 그만큼 가계 수지가 악화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저소득 가계의 부담은 훨씬 크게 나타난다. 2019년 월소득 1분위와 2분위의 식료품 지출 비율은 각각 17.8%, 14%였지만 2021년(3분기까지 통계)에는 19.2%, 15.7%로 크게 증가했다. 모든 분위를 포함하는 전체 소비 지출에서의 식료품 비율에서도 2021년 14%로 팬데믹 이전인 2019년 12.7%에 비해 1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위 소득 가계에서는 식료품 비율이 이제 거의 5분의 1 수준으로 커졌고 여기에 외식비와 주류 지출비를 포함한다면 거의 30%를 넘어선다.


한편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4.0%를 기록하며 그 전년도의 마이너스 성장에서 상당한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로 보면 성장률이 4%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 2.5%는 큰 문제가 없을 수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실상을 살펴보면 걱정이 많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높아진 것은 역대 최대의 수출 호조세와 함께 설비 투자, 정부 소비, 민간 소비 순으로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문제는 팬데믹이 길어지면서 소비 활동 위축이 길어지고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포함한 저소득 계층의 주머니 사정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이러한 경제성장률 수치는 서민들의 체감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가계를 꾸려 가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계속 불어나면서 그 체감에서의 괴리는 커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팬데믹 이전부터 빠르게 증가하던 가계 부채가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계속 증가해 이제 1800조원을 넘어섰다. 팬데믹 중에도 가계 부채가 증가한 것은 그만큼 가계의 자금 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이고 이러는 중에 금리가 인상되기 시작한 것이다. 미국발 금리 인상 신호가 연일 전해지고 우리 또한 가파르게 증가하는 가계 부채 대책과 함께 미금 금리 인상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성 그리고 인플레이션 대응책 등으로 금리를 올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생활물가의 상승과 함께 금리까지 오르면서 서민 경제의 비용 부담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제 대선을 한 달여 앞둔 지금 대선 후보들은 이러한 경제 사정을 잘 헤아려 서민 경제에 비용 부담 증가로 인해 재난 지원의 효과가 상쇄되지 않는지 살펴보며 정책 공약을 만들어 주길 바란다. 지금의 경제 상황은 앞서 언급됐듯이 서민 가계에 온통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주거비 상승에 더해 소비자 물가 상승,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등으로 서민 경제에 비용 압박이 커지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그 무엇보다 시급해 보인다. 이에 대한 실효성 높은 정책 방안 마련으로 국민, 특히 서민들의 경제적 불안을 해소해 줄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