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트렌드

시기상조냐, 당장 대비냐...'6G 딜레마' 1부 / 5G, 삼성전자, 한국소비자연맹,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오픈시그널, 밀리미터파, SA, 패킷 시스템 폴백, EPS 폴백 기술, 파주산업단지

1부

시기상조냐, 당장 대비냐...'6G 딜레마'
소비자 잡지 못한 5G 끝?, 삼성에게 던져진 ‘6G시대’

5G(Generation) 시대가 열렸으나 아직 업계에서는 “제대로 된 5G가 가동되지 않고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돌입했으나 현재 저조한 가입자 수 및 5G 커버리지 부족 현상으로 많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가 6G라는 화두를 들고나와 눈길을 끈다. 아직 5G도 완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6G를 전면에 건 삼성전자의 노림수에 시선이 집중된다.

갈 길이 먼, 5G
본격적인 5G 시대가 열렸으나 아직 체감도는 현저하게 낮다는 비판이 중론이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연맹은 2019년 4월 상용화 이후 1년간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5G와 관련해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 상담은 총 2055건이 접수됐으며 '계약해지'가 702건(34%)으로 가장 많았다. '품질' 관련이 590건(29%)으로 뒤를 이었다. 5G는 아직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한 셈이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커버리지 불안정과 5G 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콘텐츠가 부족한 상태에서 상용화가 진행되면서 소비자는 5G서비스에 대해 기대를 갖고 고가의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제한적 서비스와 품질불량에 대한 소비자불만이 접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5G 서비스 관련해 소비자 불만이 제일 많았던 통신사는 KT(33%) 그 뒤로 SK텔레콤(25%)과 LG유플러스(24%) 순으로 나타났다.

5G 기지국의 대부분이 서울 및 수도권에만 밀집된 점도 문제다. 소비자연맹은 "올해 3월 기준 전체 기지국 중 45%가 서울과 경기에 집중돼 있다"면서 "소비자 불만은 기지국 불충분으로 인한 통신망 부족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큰 틀에서 5G 인프라 구축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말도 나온다. 실제로 영국시장조사기관 오픈시그널이 발행한 '한국 5G 사용자 경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5G 이용 시간 비율은 15%에 불과하다. 당연히 5G 가입자 숫자가 확실하게 늘어나지 않으며 관련 산업 인프라 전반이 침체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5G 커버리지 확보가 미흡한 상태에서 가입자도 늘어나지 않는 이중고가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19 등의 사태로 자금 불확실성이 높아진 통신사들이 전사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5G 다음 스텝은?
5G의 확장과 연결을 위해서는 밀리미터파(mmWave)와 SA(단독모드) 구축이 필요하다.
진짜 5G를 위한 로드맵으로 여겨지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내년 하반기에나 간신히 관련 행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물론 SA는 일부 성과가 나오고 있다.
KT는 지난 6월 경기도 파주산업단지의 상용망에 5G 단독모드(SA)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실제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5G SA 소비자(B2C) 서비스 품질을 확보한 바 있다. SA 서비스 초기에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 폴백(EPS fallback) 기술을 사용해 음성통화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올해 4월 시험망에 EPS 폴백 기술을 처음 적용한 이후 지속적으로 품질 안정화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KT는 차근차근 5G SA 로드맵을 가동한다는 설명이다.

2부에 계속...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