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트렌드

스마트 선박, 조선업 퀀텀점프 기회 되려면?-2부 / 해사생산성혁명, 미쓰비시, MOL, NYK, 조선3사, 자율운항선박, 조선기자재, IMO, 조선소, 금융정책지원, 랜섬웨어, 머스크, 스마트선박

2부

일본 정부 역시 스마트선박을 새로운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2012년부터 조선업계, 해운업계, 기자재업체 등의 연쇄 효과를 고려해 40여개 해당 기관을 참여시키는 ‘스마트 선박 애플리케이션 플랫폼(SAAP)’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선내 네트워크 서비스, 육상과 선박 연결 플랫폼 등을 개발했다.

조선 산업 부흥을 위한 ‘해사생산성혁명’ 정책을 세우고 2025년까지 250척의 스마트 선박을 일본 내에서 건조하는 것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MOL, NYK, 미쓰비시 중공업 등 10개 이상의 해운·조선기업들이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다.

그 결과 일본 최대 해운업체인 NYK는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자율운항선박의 시험운항에 성공하기도 했다. 자동피항 운항시스템 ‘SSR(Sherpa Sysytem for Real ship)’이 적용됐으며, 해당 시스템이 충돌위험과 최적항로 및 경제속력을 산출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조선해양 기자재 산업의 국산화율은 90%이고 해외 의존도는 10%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나 선박 내의 항해관련 전자·IT융합 장비의 외산 의존도는 매우 높은 상황이다.

설상가상으로 조선업계의 부침이 이어지면서 기업 주도의 대규모 설비나 연구개발(R&D) 투자여력도 여의치 않다.

특허청이 최근 발표한 ‘조선분야 기술특허 트렌드’에 따르면 2000년대 초 조선분야 특허출원이 연간 300여건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2년 3000건을 돌파하고 2014년 3692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현재는 업계불황으로 감소 추세를 겪고 있다.

스마트 선박과 관련해서는 2000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5218건의 특허를 출원, 3040건이 등록돼 주요 선진 5개국(미국·유럽·일본·중국·한국) 가운데 한국이 가장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중공업의 특허 출원이 가장 많았다.

문제는 IMO 환경규제관련 특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특허 출원은 극히 저조하다는 점이다. 또한 특허 등록결정률에서 거절율이 20.5%로 집계돼 일본(21.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의 거절율은 8.8%에 그쳤다.

아울러 사이버 위협이나 해적 등 범죄행위에 대한 선박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사이버 보안은 자율운항선박 실현을 위한 필수 선결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선박 내 선원이 최소화됨에 따라 인적 피해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나 금전적 보상 목적의 선박 탈취 등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서다.

앞서 2017년 6월 말 세계 1위 해운사 머스크는 랜섬웨어로 인해 시스템이 마비돼 약 3억달러(약 3400억원)의 피해를 본 바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박에 대한 사이버 위협 우려가 확산됐다. 아울러 세계적인 보험회사인 알리안츠와 특수보험 전문 자회사인 AGCS는 선박에 대한 사이버 공격 위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IMO 역시 2021년까지 사이버 리스크 관리 항목을 선박안전관리시스템에 포함하도록 하고 사이버 보안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권고한 바 있다.

 


실제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전문가들에게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자율운항선박 도입 시 ‘자율운항 제어 및 유지보수 기술(17.8%)’에 이어 ‘사이버 테러 대비 등 선박 보안체계(13.0%)’에 대한 정책개발이 시급하다고 답했다. 이에 정부가 통합 안전·보안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에 앞서 전면적인 제도와 법 개정도 시급해 보인다. 항해 및 선박 안전과 같은 큰 틀부터 선박의 접안과 이안 절차와 같은 세부적인 틀은 물론이고, 자율운항선박의 운영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각종 제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해양사고가 나는 경우 기존의 책임은 대부분 선주나 선원에게 집중됐지만, 자율운항선박은 배를 건조한 조선소와 자율운항시스템 제조사로까지 책임 소재가 커지게 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통신 문제, 전문가 양성, 금융지원, 조세지원 등 부분에도 정부가 두 팔 걷고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조선3사는 매출액 대비 1%에도 미치지 못하는 R&D 투자와 최근 급감한 특허출원을 회복하고 자율운항선박 등 미래시장을 선도할 장기과제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정부는 조선기자재 업체 육성 방안 마련, 금융정책지원 등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을 뒷받침 해야한다. 그래야만 자율운행선박이 그간 침체돼 있던 국내 해운·조선산업의 재도약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선주들은 굉장히 보수적이다. 해상에서 통신문제나 보안문제 등으로 화물에 문제가 생긴다는 불안감이 들면 자율운항선박 이용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며 “비용부담 등도 걸림돌”이라고 전했다. 이어 “우려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 신뢰성 확보가 우선돼야 자율운항선박 상용화가 앞당겨 질 것”이라 제언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