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트렌드

스마트 선박, 조선업 퀀텀점프 기회 되려면?-1부 / 영국 롤스로이스, 노르웨이 콩스베르그, 완전무인선박, 야라, 윌헬름셀, 마스터리, 비르셸란, 코로나19, IBM, 중국선박공업, 하이항, SAAP

1뷰

스마트 선박, 조선업 퀀텀점프 기회 되려면?
EU·中·日, 시장 선점 사활… “한국, 기술경쟁력 및 보안 등 신뢰성 확보 관건”

스마트 선박이 국내 조선업계 퀀텀점프(비약적인 성장이나 발전)의 기회인 것은 확실하다. 불황의 시대 밀려오는 경쟁의 파고를 넘기 위해선 새로운 성장 동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의 자율운항선박 기술 수준은 유럽이나 일본 등 해외 경쟁국에 비해 다소 뒤쳐진 상황이다. 경쟁국에 주도권을 빼앗길 경우 선박 생산공장으로 전략할 수 있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나오는 이유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기업의 기술력 확보를 위한 노력은 물론 정부의 속도감 있는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자율운항선박 주도권 잡아라… 치열한 별들의 전쟁
현재 스마트 선박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곳은 명실상부 유럽이다. 유럽은 2012년부터 3년간 선박의 자율운항을 위한 MUNIN(Maritime Unmanned Navigation through Intelligence in Networks) 프로젝트에 총 380만유로, 한화 53억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등 가장 앞서 기술을 선도해오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각국별 또는 국가 간 연구기관, 대학, 기업, 해군사관학교 관련 기관 등의 폭넓은 협력과 국가적 지원 하에 동시다발적으로 다양한 목적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으며 덕분에 기술 개발속도도 가장 빠르다. 영국 롤스로이스(Rolls-Royce)와 노르웨이 콩스베르그(Kongsberg)가 대표적이다.

특히, 전자 및 해양솔루션 부문에서 세계 1위의 경쟁력을 가진 콩스베르그는 현재 독자적 플랫폼 개발과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실선건조 단계에 와 있으며, 롤스로이스의 상선 부문을 인수합병하는 등 기자재부문 사업까지 진출하며 완전무인선박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2017년에는 세계 최대 미네랄 비료 회사 야라와 협력해 세계 최초로 자율운행 전기 선박 개발을 발표한 바 있으며, 2018년에는 노르웨이 윌헬름셀과 세계 최초로 자동운항 해운사 마스터리(Massterly)를 설립하기도 했다. 올 2월에는 야라와 함께 세계 최초 친환경 전기 컨테이너선 비르셸란(Birkeland) 개발에 성공하기도 했다. 5월까지 시험운항을 마치고 정상운항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아직까지 실행은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 최초 무인 자율운항선박 상용화의 결실도 유럽에서 맺게 될 전망이다. 영국 프로메어연구소와 IBM은 인공지능 메이플라워 자율운항선박(MAS·Mayflower Autonomous Ship)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테슬라의 자율주행차처럼 선원 없이, 인공지능 선장을 통한 자율주행 선박을 만드는 미래 연구다. 현재 폴란드에서 건조 중에 있으며, 400년 전 메이플라워호가 항해를 나섰던 때에 맞춰 올해 9월 공식 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MAS는 대서양을 횡단하는 동안 해양 플라스틱 오염도 측정과 해양 포유동물 생태 관찰 그리고 해수면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중국은 2013년부터 정부의 주도 하에 스마트 선박 연구를 본격 추진해왔다. 이어 2015년 ‘중국제조 2025’을 통해 제조업 대국에서 강국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국가 주도 하에 스마트 선박 개발에 나서고 있다.

2016년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스마트 선박 기술과 관련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스마트 선박 혁신센터가 설립됐으며, 같은 해 6월 중국선급협회와 중국의 하이항(HNA) 그룹이 주관하는 ‘무인 화물선 개발 얼라이언스’를 출범하기도 했다.

 


여세를 몰아 2017년 12월 중국선박공업(CSSC)은 세계 최초의 스마트 선박인 ‘그레이트 인텔리전스호’를 정식 출항하는 성과를 거뒀다. 해당 선박은 3만9000T급 화물선으로, 자율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 운행 및 유지 시스템(SOMS)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지난해 12월에는 첫 무인 자율운항 화물선인 ‘근두운 0호’의 첫 시험 항해를 성공적으로 마치기도 했다. 아울러 세계 최대 면적의 자율운항선박 시험해역도 건설하고 있어, 향후 스마트 선박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국으로 등장할 것으로 점쳐진다.

일본 정부 역시 스마트선박을 새로운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2012년부터 조선업계, 해운업계, 기자재업체 등의 연쇄 효과를 고려해 40여개 해당 기관을 참여시키는 ‘스마트 선박 애플리케이션 플랫폼(SAAP)’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선내 네트워크 서비스, 육상과 선박 연결 플랫폼 등을 개발했다.

조선 산업 부흥을 위한 ‘해사생산성혁명’ 정책을 세우고 2025년까지 250척의 스마트 선박을 일본 내에서 건조하는 것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MOL, NYK, 미쓰비시 중공업 등 10개 이상의 해운·조선기업들이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다.

그 결과 일본 최대 해운업체인 NYK는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자율운항선박의 시험운항에 성공하기도 했다. 자동피항 운항시스템 ‘SSR(Sherpa Sysytem for Real ship)’이 적용됐으며, 해당 시스템이 충돌위험과 최적항로 및 경제속력을 산출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2부에 계속...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