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땅, 20년 동안 안양시 면적만큼 증가
대지, 창고 등 생활용지 증가, 산, 논, 밭 등 임야, 농경지 감소
연천군 민통선,DMZ 미복구토지 등록 32.8㎢
경기도 땅이 20년 동안 57.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간 지적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9년 말 기준 경기도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기도 면적은 1만 192.5㎢로 200년 1만 135.0㎢보다 57.5㎢ 늘었다. 이는 안양시 전체면적(58.5㎢)에 버금가는 규모다.
지적은 토지의 위치,모양,지번,경계 등 땅의 정보를 기록한 것으로 ‘땅의 주민등록’이라 불린다. 지적공부는 이를 공적으로 증명하는 장부다.
지적통계는 지적공부에 등록된 면적 등을 기초로 행정구역(시, 군, 구) 별, 지목별, 소유구분별 등 토지의 면적과 필지수를 집계한 통계다.
면적 증가는 연천군 민통선과 DMZ 일원 미복구 토지 32.8㎢와 공유수면 매립으로 조성한 안산,시흥시 시화멀티테크노밸리 사업부지 10.2㎢, 화성시 송산그린시티 사업부지 8.5㎢, 평택항 3.1㎢ 등이다. 이밖에 지적공부 등록 누락 토지 신규 등록 2.9㎢ 등이 새롭게 추가됐다.

이 기간 대지나 창고, 공장용지 등 생활 관련 토지는 2000년 670㎢에서 2019년 말 1223.9㎢로 553.6㎢, 도로,철도,하천 등 기반 시설 토지는 2000년 898㎢에서 2019년 말 1084.6㎢로 186.6㎢ 증가했다.
반면 산,논과 밭, 과소원 등 임야나 농경지는 같은 기간 8359.6㎢에서 7520.5㎢로 839.1㎢ 감소했다.
시,군별로는 양평군 877.7㎢(8.6%), 가평군 843.7㎢(8.3%), 포천시 827.0㎢(8.1%) 순으로 면적이 넓었고, 구리시 33.3㎢(0.3%), 과천시 35.9㎢(0.4%), 군포시 36.4㎢(0.4%) 순으로 면적이 작았다.
필지수로는 화성시 48만 7,559필지(9.8%), 평택시 36만 5,273필지(7.3%), 용인시 32만 5,202필지(6.%) 순으로 많았고, 과천시 1만 6,803필지(0.3%), 군포시 2만 1,657필지(0.4%), 구리시 2만 6,193필지(0.5%) 순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목별 면적은 임야가 5,317.2㎢(52.2%)로 가장 넓었다.
이어 논 1,227.8㎢(12.0%), 밭 893.3㎢(8.8%), 대지 597.2㎢(5.9%) 순이었다. 가장 작은 순으로는 광천지(온천, 약수 등이 용출되는 부지) 180㎡, 양어장 116만6,000㎡, 주유소용지 414만3,000㎡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