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트렌드

서울시 “뉴딜 동참할 준비 돼 있어”, 업계 “신중 기해야” / 자동차,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현대차, 기아차, 친환경차, 김필수, 하이브리드 모델, 저탄소, 제로탄소, 전기차, 수소차, 내연기..

서울시 “업계, 서울판 뉴딜 동참할 준비 돼 있어”…업계·학계 “사업 신중 기해야”

서울시는 현재 국내 자동차 분야 업체들이 서울판 그린 뉴딜 사업에 대응할 능력이 충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시민들이 이번 사업으로 나타날 일상적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친환경차 관련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 성과의 관건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는 서울판 그린 뉴딜 사업에 대해 업계에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고 본다”면서도 “그린 모빌리티 사업 계획에 따라 제도 도입까지 앞으로 남은 기간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시책이 심각한 기후 위기에서 벗어날 탈출구가 되겠지만 현실에 따라 전략(시책 세부시행 계획)은 바뀔 수 있다”며 “서울시는 그린 모빌리티 사업과 관련해 자동차 산업 내 업체들과 지속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국산차 업체들을 회원사로 둔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서울시의 이번 그린 뉴딜 시책의 급진성을 경계하는 취지의 입장을 내놓았다. ‘언제까지 어떤 한 쪽을 제한한다’는 식의 편향적인 기조 대신 기존 사업 역량과 미래 사업 경쟁력을 함께 강화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주장이다.


KAMA 관계자는 “한국 자동차 산업은 지난 수십년간 내연기관차 분야의 기술력을 동력원으로 성장해왔고, 지금도 해당 분야 경쟁력을 (친환경적 측면에서) 강화해나가고 있다”며 “정책·시책은 기존 경쟁력을 차단하거나 버리는 대신 기술 중립적 차원에서 미래 역량과 함께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돼야 한다”고 밝혔다.


학계 일각에서도 서울시의 이번 그린 모빌리티 사업이 친환경 분야 측면에서 진일보한 수준의 내용을 담고 있지만 현실성은 부족하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소비자들의 평균적인 차량 이용 기간이나 뉴딜 사업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변수가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시책 진행 과정의 완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소비자가 차량 1대를 10년씩 탄다고 가정하면 일부 서울 생활 인구는 지금부터 2~3년 이후엔 내연기관차를 구입하는 게 어려운 셈”이라며 “서울시는 각종 시책이 전국에 미치는 영향력이나 국내 업체별 사업 현황 등을 고려해 시책 시행 일정을 조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기아차, 그린 뉴딜 정책 바탕으로 친환경차 사업 전개
한편 국내 전기차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 두 기업은 현재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앞서 기업의 생존 요건으로 꼽히는 친환경차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울시가 친환경차 보급 사업의 목표로 내연기관차 퇴출 계획을 구체화한 점은 두 기업에 적잖은 부담을 줄 만한 요소다. 다만 두 기업은 국내외 친환경 기조를 염두에 둔 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실천해나갈 방침이다.


현대차·기아차 양사는 2025년을 기한으로 61조원, 29조원씩 총 90조원 가량 투자하고 친환경차 라인업을 총 44종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해당 라인업에 포함된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서울시의 향후 퇴출 대상이다. 다만 양사 친환경차 정책의 최종 단계에 놓인 제품은 아닌 만큼 중단기적 차원에선 친환경 정책에 부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양사가 그린 뉴딜 정책을 바라보는 관점은 최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의 발언에서 가늠할 수 있다. 정 수석부회장은 그린 뉴딜 정책을 사업 저변에 둘 것이란 방침을 제시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지난 14일 정부 주도로 열린 한국판 뉴딜 대국민 보고대회에 영상을 통해 등장한 뒤 “그린 뉴딜은 미래를 위한 중요한 사업방향”이라며 “현대차그룹은 저탄소·제로탄소 시대를 위해 전기차·수소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갖춘 친환경 기술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