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트렌드

2라운드 들어선 코로나19, ‘백신 전쟁’의 막 오르다-1부 / 사스, 에볼라 백신, 메르스, 가다실, 머크, 도널트 트럼프, 큐어백, 팬데믹, 식품의약국, 임상, 국립전염병연구소, 존슨앤드존슨, 세..

2라운드 들어선 코로나19, ‘백신 전쟁’의 막 오르다
유례없는 팬데믹 잠재울 ‘최후의 병기’… 한국은 해외 도입·자체 개발 ‘투 트랙’ 전략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맹위 앞에 인간은 속수무책이다. 세계 경기는 침체 일로를 걷고 있다. 이 비상사태를 잠재울 최후의 병기는 ‘백신’으로 통한다. 치료제가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을 없앤다면 백신은 집단 면역을 통해 대유행의 출구 전략을 만든다.

전 세계의 수많은 연구자들이 백신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7월 31일 기준 165개의 백신 후보 물질이 개발되고 있고 그중 6개는 임상 3상에 들어갔다. 시험 결과에 따라 이르면 올해 말 백신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관측된다.

벌써부터 백신을 둘러싼 확보전이 뜨겁다. 미국과 영국은 선점 전략에 나섰다. 미국은 8월 5일(현지 시간) 존슨앤드존슨과 백신 1억 회 투여본 공급 계약을 10억 달러(약 1조2000억원)에 체결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코로나19 관련 백신 7억 회 분을 그러모으게 됐다. 영국 시장 분석 기관 에어피니티에 따르면 8월 2일 기준 미국·영국·유럽연합(EU)·일본 등은 코로나19 백신 13억 회 분을 확보했다.

 


치열한 ‘속도전’…공정한 배분 논란도
1796년 천연두 백신이 만들어진 이후 지금처럼 전 세계 수많은 제약사가 백신 개발에 열을 올린 적이 없다. 더욱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유례없는 속도전을 치르는 점에서 이목을 모은다.

백신 개발은 일종의 마라톤과 같다. 최소 5년(에볼라 백신) 이상 걸리고 통상 임상 3상만 4~5년씩 진행하면서 10년 이상을 필요로 한다. 모두 완주에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로 2003년 유행한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관련 백신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코로나19 백신은 그 기간을 12~18개월로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건강한 사람’에게 ‘예방’을 목적으로 접종하는 백신은 ‘안전성’과 ‘효능’이 필수 요건이다. 여기에 코로나19 백신은 시간과의 싸움을 벌이면서 가격·생산·공급·접종 측면에서 도전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실제 출시 시기에 대해서는 미국 내에서도 서로 다른 견해가 나온다. 미국 국립전염병연구소(NIAID)의 앤서니 파우치 소장은 “코로나19로부터 우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지 연말까지 해답이 나올 것”이라면서 연내 백신 생산에 대한 가능성을 높였다. 반면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가다실’을 개발한 머크(MSD)의 케네스 프레이저 회장은 “12개월에서 18개월의 백신 개발 목표는 지나치게 낙관적이며 수백만 명이 접종하기 위해서는 안전성이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트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백신 개발·보급 프로젝트인 ‘초고속 개발 작전’을 선언했다. 이를 두고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행보라는 관측이 나온다. 또한 선진국이 백신 싹쓸이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자국민 치료와 함께 정치·외교적 입지를 넓히는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미국과 영국이 현재까지 확보한 백신은 자국 인구수의 두 배 이상이다. 어느 백신이 성공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다수 기업에 계약금을 넣으며 일종의 분산 투자를 하는 셈이다.

 


일정량의 백신을 전략 비축분으로 남겨 놓고 나머지는 수출하거나 외교전에 활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물밑에선 벌써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필리핀은 중국에 코로나19 백신을 요청하면서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접을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독일 정부는 미국이 독일의 백신 전문 기업 큐어백에 대한 인수 시도를 막기 위해 지분 23%를 사들이는 등 자국 제약사를 지원하고 나섰다. 독일·중국·러시아 등은 자체적으로 백신 기업을 육성하며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치 논리가 백신 개발을 가속화하는 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임상 3상에 돌입한 제약사 가운데 적어도 한 곳 이상이 개발에 성공하면 이르면 연내, 늦어도 내년 중순에는 실제 접종이 시작된다. 항체가 얼마나 지속될지는 또 다른 이슈이지만 효능을 다소 낮추더라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팬데믹(세계적 유행)에 대응하자는 게 제약사들의 전략으로 보인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코로나19 백신이 50% 정도의 효과만 보여도 승인하겠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일반적인 백신 승인 기준은 약 70%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