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트렌드

“코로나19 계열 모든 바이러스 예방하는 ‘범용 백신’ 만들 것” / GC5131A, 혈장치료제, 글로불린, 메르스, 사스, GC녹십자, 유현아, 치사율, 목암연구소, RNA, 의약품, 항체, 완치자

“코로나19 계열 모든 바이러스 예방하는 ‘범용 백신’ 만들 것”
유현아 GC녹십자 종합연구소장 “완치자의 혈액 이용한 혈장 치료제 개발도 순항 중”

GC녹십자는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동시에 개발하고 있다. 코로나19에 특화된 항체가 들어 있는 면역 단백질을 활용한 혈장 치료제 ‘GC5131A’와 코로나19 계열의 모든 바이러스를 타깃으로 하는 범용 백신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유현아 GC녹십자 종합연구소장은 “GC5131A의 임상을 위한 제제 생산을 완료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 2상을 신청한 상태”라며 “국내에서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바이오 코로나19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상용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현아 GC녹십자 종합연구소장. /GC녹십자 제공


혈장 치료제는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입니까.

“혈장 치료제는 완치자의 혈장(혈액 속 액체 성분) 속에 포함된 다양한 항체를 추출해 만드는 의약품입니다. 완치자의 혈장에는 항체가 모여 있는 면역 단백질이 있어요. GC5131A는 이를 분획해 만드는 ‘고면역 글로불린’ 제제입니다.

일반 면역 항체로 구성된 대표적 혈액 제제인 면역 글로불린과는 코로나19에 특화된 항체가 더 많이 들어 있다는 점이 다르죠. 또한 혈장 치료제는 병원에서 시행하는 ‘혈장 치료’와는 개념이 달라요.

혈장 치료가 완치자의 혈장을 그대로 수혈하듯 환자에게 투여하는 일종의 의료 행위라면 혈장 치료제는 혈장 내 면역 단백질만 분획해 고농축한 의약품입니다.”

약효와 안전성 등이 합성 의약품보다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맞습니다. 혈장 치료제의 개발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는 면역 글로불린 제제가 오랜 기간 인체에 사용되며 안전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죠. 이 제제는 이미 상용화된 동일 제제 제품들과 작용 메커니즘은 물론 생산 방법도 같습니다. 다른 치료제나 백신과 달리 개발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뜻이죠.

과거 신종 감염병 치료와 이번 코로나19의 경우에서도 완치자 혈장의 투여만으로도 치료 효과를 본 적이 있는 만큼 이를 분획·농축해 만든 의약품의 치료 효능도 이미 검증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완치자의 혈장을 원료로 하는 만큼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한계는 있을 것 같습니다.

“혈장 치료제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완치자의 혈장 기부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그만큼 대량 생산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치료가 가장 시급한 중증 환자와 일선 의료진 등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 목적의 치료제로 개발되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백신 개발 현황은 어떻습니까.

“GC녹십자는 목암연구소와 함께 합성 항원 기반의 코로나19 범용 서브 유닛 백신의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RNA 바이러스에 속하는 코로나19는 변이가 쉽기 때문에 향후 대변이를 일으킨다면 백신의 유효성을 상실할 수 있어요. 따라서 다양한 코로나19 기반 질환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 백신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범용 백신은 코로나19가 종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부분을 항원으로 해 개발합니다. 이렇게 개발된 범용 백신은 코로나19뿐만 아니라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 다양한 코로나 바이러스 유래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죠.”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전략이 궁금합니다.

“GC녹십자는 과거 다수의 백신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상용화 시기를 단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이미 내재화해 구축하고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은 안전성이 확실히 검증되지 않으면 예기치 않은 부작용 등을 초래할 수 있어요. 개발에 특히 주의하고 검증해야 할 사안들을 착실히 고려해야 합니다.

GC녹십자가 치사율과 전파력이 높고 변칙적인 코로나19의 특성을 고려해 범용 백신 개발을 결정한 이유죠. 다른 백신에 비해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향후 출몰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신종 감염병까지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드는 게 GC녹십자의 목표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