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블록체인, 만물을 연결하는 체인될까? / 사토시나카모토, 탈중앙, P2P, 암호화폐, 비트코인, 토렌트, 울산페이, chai, 플랫폼, IoT, IT기업, LGCNS, 외국환송금서비스, IBM푸드트러스트

블록체인, 만물을 연결하는 체인될까?

블록체인과 초연결 사회

‘PC 통신망’이 80년대를 강타했을 당시, 우리는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직감했다. 그리고 2020년 블록체인의 상용화를 눈앞에 둔 지금 또 다른 시대가 열렸다. 사람과 사물, 데이터 등 모든 것을 연결 가능하게 하는 초연결사회가 다가왔다.

블록체인의 등장

IT계 뉴스에 연일 등장하는 단어는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이란 말을 들어봤지만 대관절 무엇인지 알지는 못했다. 하지만 이쯤 되니 관심 없던 사람도 궁금해진다. 블록체인은 도대체 정체가 무엇일까?

블록체인을 처음 고안한 사람은 일본인 나카모토 사토시다. 블록체인은 블록과 체인의 합성어로, 블록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긴다. 이러한 블록이 체인처럼 연결돼 하나의 정보를 완성한다는 것이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이다. 블록체인의 핵심은 탈중앙과 합의에 있다.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사용내역이 전부 기록되며 한 번 기록된 정보는 수정할 수 없어 데이터를 위조할 수 없다는 안정성에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다.

우리가 아는 가장 유명한 블록체인의 적용사례는 암호 화폐 비트코인이다. 블록체인을 고안한 사토시가 2009년에 개발했다. 비트코인은 특정한 관리자가 없이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작동한다. 개인 간 거래를 의미하는 P2P는 인터넷으로 다른 사용자 컴퓨터에 접속해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로 토렌트가 대표적인 사례다. 비유하자면, 비트코인은 토렌트처럼 이용자 간 분산되어 저장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비트코인에서 10분에 한 번씩 만드는 거래내역 묶음이 블록인데, 한마디로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의 거래 기록을 저장한 거래 장부라고 할 수 있다. 거래 장부가 투명한 화폐의 등장에 사람들은 주목했으며, 비트코인은 생긴 지 5년 만에 시가총액으로 세계 100대 화폐 안에 들어갈 정도로 성장했다.


생활 속에 들어온 블록체인

최근 IT기업 LG CNS는 세계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신분증 개발을 추진 중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신분증으로 불필요한 절차를 줄인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게임 기업 넥슨도 블록체인 기반 간편 결제 서비스 차이(Chai)를 도입했다. 블록체인을 바탕으로 구축한 울산지역화폐인 울산 페이는 지역에서 이미 자리 잡았다. 이처럼 블록체인의 시작은 금융이었지만 그 확장성과 신뢰성을 무기로 다양한 산업으로 활용되며 우리의 삶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도입되고 있으며, 외국환 송금 서비스에 경우는 이미 외국에서 상용되고 있다. 블록체인을 활용해 전자 투표도 가능해진다. 투표 내용을 개별 블록에 저장해 익명이 보장되며, 투표 결과를 모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되는 특성으로 신뢰도까지 확보할 수 있다.

우리 생활과 밀접한 식품 산업에서도 블록체인의 활용도는 상당하다. 식품 산업에서 블록체인은 농축산물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의 생산, 가공, 물류, 유통, 소비의 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농산 인증 여부는 물론 어떤 경로를 거쳐 배송됐는지, 배송 중 습도와 온도 정보까지 확인이 가능하며, 여기에 IoT 기술을 접목하면 유통과정에서 온도나 습도를 측정해 식품 변질에 관한 부분도 관리할 수 있다. 지난해 블록체인 기반 식품 추적 네트워크인 IBM 푸드 트러스트의 사용화가 대표적인 예다. 이를 통해 수백만 건의 식품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질병이나 리콜에 대한 대응 시간도 줄었다.

무역업계에서는 실시간 운송정보, 운송서류가 공개되는 플랫폼이 구축돼 문서 위변조나 거래 지연과 같은 문제를 예방하게 됐고, 보험이나 병원 관련 산업에서도 의료관리, 정보관리 등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을 개발 중이다.

문화산업에서도 블록체인은 환영받는 존재다. 예술품 경매에서 가상화폐 토큰을 활용한 예술품 정보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이 출시되어 상위층의 전유물이었던 예술품 거래의 대중화를 이끌어낼 전망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