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고양·남양주·용인, 토지보상금 5조 원 이상
하남·고양·남양주·용인에서는 내년까지 각각 5조 원이 넘는 토지보상금이 풀린다. 고양에서는 고양창릉 공공주택지구 외에도 오는 11월부터 경기고양 방송영상밸리 도시개발사업(70만1984㎡)이 4700억 원 규모의 토지 보상을 시작한다.
일산테크노밸리(85만358㎡)와 장기 미집행 공원 부지를 활용하는 고양탄현 지구(41만5745㎡)도 내년부터 토지보상에 들어간다.
남양주에서는 왕숙1·2 지구 외에도 양정역세권 도시개발사업(206만3088㎡)이 오는 10월부터 토지 보상을 한다.
용인에서는 용인의 지도를 바꾸는 용인구성역 도시개발사업(272만156㎡)이 내년 8월부터 4조 원 규모의 토지 보상을 한다. SK하이닉스 용인반도체 클러스터(448만4075㎡), 용인중앙공원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82만1203㎡) 등 5곳의 사업지구도 내년부터 토지 보상에 들어간다.
이로 인해 내년 용인에서 풀리는 토지보상금 규모는 6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여 토지보상금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 인접 지역 부동산시장이 또 한 번 요동 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 김포에서는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87만5817㎡)이 이르면 오는 12월부터 토지 보상을 시작한다. 실시계획 승인이 지연되면서 토지보상 일정도 애초 계획보다 지연됐다. 또 민간사업자가 시행하는 학운5·학운7 산단이 금융권 PF대출을 완료하면 각각 토지 보상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광명에서도 내년까지 1조 원이 넘는 토지보상금이 풀려 인접 부동산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올해 광명시흥 일반산업단지(97만4792㎡)를 시작으로 광명시흥테크노밸리 4곳의 사업지구가 내년까지 차례로 토지 보상을 한다.
인천에서는 계양테크노밸리 외에도 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79만3253㎡)가 올해 토지 보상을 시작하는 등 모두 4곳의 사업지구에서 1조8000억 원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예정이다.
대전과 세종, 충남북 지역에서는 중소규모의 산업단지에서 토지보상금이 풀린다. 음성의 맹동인곡, 천안 성거, 청주 북이산업단지 등 29곳 20.04㎢에서 2조900억 원 규모의 토지보상금이 풀린다.
부산과 울산, 경남지역에서는 창원 평성산단, 김해 사이언스파크 일반산업단지 등 17곳의 사업지구에서 1조2000억 원 규모의 토지 보상이 시작된다.
광주와 전남북 지역에서는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361만6853㎡)와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65만5993㎡)가 각각 4700억 원과 1200억 원 규모의 토지 보상을 시작하는 등 내년까지 모두 13곳의 사업지구에서 9342억 원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에서는 대구연호 공공주택지구(89만6789㎡)가 내달 보상계획 열람공고를 거쳐 오는 11월부터 협의 보상을 시작하는 등 모두 3곳의 사업지구에서 5230억 원 규모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것으로 예상된다.
강원도에서는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망상지구 동해이씨티 국제복합관광 도시(342만4820㎡)가 오는 9월 토지보상을 시작하는 등 내년까지 4곳의 사업지구에서 3648억 원의 토지 보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정부는 대토보상과 리츠를 활용해 시중에 풀리는 토지보상금을 흡수할 예정이다. 이는 대토받은 복수의 택지를 하나로 묶어 제공하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운용하는 리츠가 이곳에서 공동주택건설 등 사업을 시행한 뒤 사업이익을 배당 등의 형태로 대토 보상자들에게 제공하는 형태다.
그러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대토보상을 선호하지 않는 곳도 있어 토지보상비 흡수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신태수 지존 대표는 “토지보상금의 90% 정도가 수도권에서 집중적으로 풀리는 만큼 토지보상금이 투자처를 찾아 주택과 토지시장으로 유입된다면 시중의 풍부한 부동자금과 맞물려 정부의 기대와는 달리 수도권 지역 부동산시장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