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트렌드

티몬, ‘배송 전쟁’은 그만, ‘반짝 특가’ 타임 커머스 전략으로 승부 / 코로나19, 이커머스 기업, 벤처기업, 소셜커머스, 이진원, 레드오션, 블루오션, 내실경영, 아마존, 쿠팡, 위메프, 선순..

티몬, ‘배송 전쟁’은 그만, ‘반짝 특가’ 타임 커머스 전략으로 승부
2018년 물류 서비스 접고 수익성에 집중, 흑자전환 발판으로 업계 첫 상장 추진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 속도는 가히 폭발적이다. 매년 예상을 뛰어넘는 규모로 커져 왔다. 올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이 ‘비대면 소비’ 바람을 일으키며 소비자들의 구매 방식이 더 빠르게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모습이다. 온라인 쇼핑 구매 비율이 오프라인을 넘어서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나온다.

인터넷 전자 상거래(이커머스)를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들은 이런 추세에 힘입어 매년 폭발적으로 사세를 확장하고 있다. 유통 시장의 ‘변방’에서 ‘중심’으로 급격히 자리를 이동 중이다. 유통업계의 판도를 뒤흔드는 ‘신흥 강자’로 떠오른 이커머스 기업들의 성장 스토리와 미래 전략을 조명한다.

500만원의 자본금으로 시작한 벤처기업이 이제는 연간 수천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5명뿐이었던 직원 수는 1000여 명으로 늘어났다. 2010년 설립된 티몬이 10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 수치에서도 나타나듯이 매년 성장을 거듭한 끝에 온라인 유통 시장을 이끄는 주요 이커머스 기업 중 하나로 입지를 굳혔다.


티몬은 경쟁사들과 달리 ‘내실 경영’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는 부분에서 주목할 만하다. 점유율 확대보다 수익성 제고에 주력해 왔는데 최근 그 성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에는 사상 처음으로 월 단위 영업이익이 흑자를 기록하며 ‘만성 적자’에 시달리는 이커머스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올해 목표는 연간 영업이익 흑자 달성이다. 안정적인 실적을 토대로 내년에는 이커머스 기업 중 최초로 증시 상장을 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 6월부터 티몬을 이끌고 있는 이진원 대표는 ‘수익이 나는 회사’를 만드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업계 위기 감지하고 사업 모델 전환

지금은 이커머스 기업으로 불리고 있지만 티몬의 출발은 ‘소셜 커머스’였다. 정가보다 50% 이상 할인된 가격에 식당이나 주점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쿠폰을 판매하는 이 사업 모델을 한국에서 가장 먼저 도입한 곳이 바로 티몬이다. 2010년 초 한국에 불어 닥친 소셜 커머스 열풍을 일으킨 주인공이기도 하다.

티몬은 2010년 5월 첫 서비스 시작과 동시에 거침없는 질주를 시작했다. 설립자인 신현성 현 티몬 의장은 친구 4명과 함께 티몬을 설립했는데 이들이 첫째로 제공한 서비스는 당시로선 파격적이었다. 홍대의 유명 맥줏집을 무려 ‘반값’에 이용할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한 것이다. 이를 통해 티몬은 단숨에 이름을 알릴 수 있었다.

첫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계속해 유명 맛집을 유치해 이용권을 파격적인 가격에 선보이는 행보를 이어 갔다. 그 결과 서비스 개시 7개월 만인 2010년 12월 매출 200억원을 올렸다. 티몬의 인기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수치다.

이후 스토어·여행 등 다양한 영역으로 소셜 커머스 사업을 확대한 결과 티몬은 2013년 말 가입 회원 수 1000만 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대한민국 국민 다섯 명 중 한 명을 티몬의 고객으로 만든 셈이다.

이른 시간 안에 무섭게 덩치를 키우며 1000만 명이나 되는 고객을 확보했지만 티몬은 마냥 웃을 수만은 없었다. 주력인 소셜 커머스 사업에서 점차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다.

티몬의 성공을 본 수많은 기업들이 너 나 할 것 없이 소셜 커머스 사업에 뛰어들었다. 기업들의 출혈 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됐고 이 시장을 바라보는 전망도 순식간에 ‘블루오션’에서 ‘레드오션’으로 바뀌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식당 업주들은 소셜 커머스 이용 고객에게 상대적으로 낮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까지 속출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이용을 꺼리게 되면서 영원할 것처럼 보였던 소셜 커머스의 인기는 빠르게 시들해지고 말았다.

업계에 따르면 소셜 커머스 열풍이 한창이던 2011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500여 개에 달했지만 2013년을 기점으로 대부분이 사라졌다. 2014년에는 티몬·쿠팡·위메프 등 손에 꼽을 정도의 업체만 시장에서 생존했다.

티몬이 이런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결은 일찌감치 이런 시장 상황을 간파해 사업 구조를 전환해 나갔기 때문이다.

경쟁사들이 빠르게 늘면서 티몬은 소셜 커머스의 비율을 점차 낮추고 다양한 제품을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이른바 ‘오픈 마켓’ 형태의 사업 구조를 만들어 나갔다. 자연스럽게 소셜 커머스에서 이커머스 기업으로 사업 모델을 전환한 셈이다. 이에 따라 소셜 커머스 시장의 추락 속에서도 티몬은 계속 매출이 늘어날 수 있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