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경제, 금융, 카드

투자를 왜 해야 할까? / 금리인하, 금융, 바이러스, 부동산, 북한, 서브프라임사태, 잃어버린10년, 주가지수, 코로나, 투자

투자를 왜 해야 할까? 3가지 이유가 있다.

 

1. 부동산

한국인들은 자산의 70%가 부동산에 묶여있다. 그런데 선진국들은 부동산 비율이 30~40% 정도로 높지 않다. 선진국들은 이미 부동산 거품에 당해본 적이 있다.

미국은 서브프라임 사태로, 일본은 잃어버린 10년을 통해 부동산 거품이 꺼졌다. 선진국들의 경우 부동산을 투자하는 게 아니라 유동성 높은 주식, 펀드, 채권에 대한 자산 비중이 높다. 유대인들은 중학생 때부터 투자를 한다. 그래서 돈을 불려 가는 방법을 안다.

 

한국은 슬프지만 일본에 10년 정도 늦춰져있다. 한국도 결국 미래엔 부동산 자산보다 금융 자산 비중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그때부터, 투자를 한다고 하면 늦다. 지금부터 소액이라도 투자하는 걸 추천한다.

많은 돈이 아니라 투자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투자를 하면 좋을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고, 조금씩이라도 투자를 하는 걸 권유한다.

 

 

 

2. 한국의 금리 인하이다.

미국이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지금 제로금리를 한시적으로 채택했다. 한국은 이번 년도에 0.75%로 금리를 낮췄지만,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 하반기에 0.5%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돈을 어떻게 불려나가야 할까? 소액이라도 투자를 추천한다. 100에서 자기 나이 마이너스로 계산을 해보자. 내가 30살이면 100-30=70이므로 70% 정도는 공격적으로 투자해도 괜찮다는 것이다.

미국은 제로금리가 한시적이다. 하지만 한국은 아니다. 한국은 진짜 내려야 살 수 있는 나라이다. 한국은 가계부채가 워낙 높다. 7천 억 정도 된다. 그걸 1인 가구로 나누면 7~8천 정도 된다. 그런데 부자들은 가계부채가 없다. 부자들은 제외하고 계산하면 1인 가구당 가계부채는 1억이 넘는다. 그래서 한국은 절대 금리를 올릴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금리를 1%만 올리더라도, 1원을 빌린 사람은 1년에 100만원 이자를 추가적으로 더 내야 한다. 그러면 월 83,000원이라는 고정 지출이 그냥 생긴다. 한국은 생각보다 금리를 올리기 쉽지 않은 나라이고, 계속해서 떨어질 것이다.

 

 

3. 한국은 주가지수가 저평가 되어있다.

코스피의 경우 2,000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바이러스 때문에 1,500이 되었다.

대만의 국가 지수는 보통 10,000 정도 된다. 바이러스 때문에 9,000 정도 되었다.

일본의 국가지수는 보통 23,000 정도 된다. 바이러스 때문에 16,000 정도 되었다.

한국은 주가지수는 왜 이렇게 낮을까?

대내적인 이유는 한국인들의 자산은 부동산에 묶여있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은 부동산 거품이 꺼질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10~20년은 부동산 거품이 지속될 것이다. 부동산 자산이 거품이 꺼지고, 부동산 시장이 몰락하면 그 돈은 금융자산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증시가 빠르게 올라갈 것이다. 근데 그때부터 투자를 하면 굉장히 늦다. 사람들이 생각했을 때는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이다. 그 전에 움직여야 한다. 최소한 조금이라도 투자하는 방법을 알아야지 그 때 돼서 어느 정도 돈을 굴릴 수 있다.

대외적인 이유는 한국의 모든 기업 위에는 김정은이 있다. A 한국기업과 B 외국기업이 동등한 수준의 기업이라고 한다면, B라는 외국기업의 지수가 훨씬 더 높다. 한국은 북한 때문에 지수가 굉장히 저평가되어있다. 이걸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한다.

정치적인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이끌어 내는 것도 이런 이유이다. 종전선언을 이끌어내면 외국 자본들이 한국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

댓글